티스토리 뷰
지난 33년간 매일 아침에 거울을 보며 스스로에게 물었습니다. "오늘이 내 인생의 마지막 날이면, 그래도 오늘 하려던 일을 하고 있을까?"
만약 며칠 연속으로 "아니"라는 대답이 나온다면,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사실을 깨닫곤 했습니다.
이 내용은 스티브 잡스가 2005년 스탠포드대학교 졸업식에서 했던 연설 중 일부입니다.
목차
성공하려면 위험해져라
우리는 좋은 학교에 입학해서, 괜찮은 학점으로 졸업하고, 좋은 회사에 입사해서 열심히 커리어를 쌓으며 살아갑니다. 아니, 그러려고 노력하며 살아갑니다. 월급을 받으면 저축하고 남들따라 투자도 해보며 은퇴까지 달립니다. 하지만 지금 하는 일, 현재 재정 상태, 만족스러우신가요? 단지 업무에 적응해서 일하기 편하다는 이유만으로 삶을 굳이 바꿀 필요 있나 싶고 안주하려는 마음이 있으신가요? 책 '가장 빨리 부자되는법' 저자는, 삶이 변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스스로 변하지 않으면서 인생이 성공하기를 바라는 것은 허황된 꿈일 뿐입니다. 위험을 감수하는 태도가 여러분이 수용해야 할 핵심입니다. 부자가 되고 성공하려면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하루종일 직장에서 일하다가 은퇴하는 삶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라는 말은 유명합니다. 주로 투자할 때 많이 쓰입니다. 그런데 반대로 인생에 비추어보면, 우리는 대부분 위험도 작고 보상도 작은 세상에서 살고 있습니다. 업무시간에 일만 하면 되는 안정적인 직장에서, 카드며 공과금이며 다 퍼주고 나면 작고 귀여운 월급으로 한달 한달을 살아내고 있습니다. 몇 년을 회사에서 열심히 일해야 승진하고 연봉이 소폭 상승하고, 한 푼 두 푼 아끼며 돈 모아서 저축하면 인플레이션이 우리 돈을 잡아먹습니다. 그렇게 아주 긴 몇 십년의 세월을 거치고 나면, 은퇴 후 나를 기다리는 보상은 사라진 젊음과 적당한 자산입니다. 물론 사치부리는 건 쉽지 않고 매달 적당히 아껴써야하는 수준의 자산 말입니다.
하루 8시간씩 직장에 묶여서 일하는 삶은 여러분이 통제불가한 요소들로 가득합니다. 나를 타인이 통제하도록 두기 때문입니다. 길어지는 미팅이 내 시간을 빼앗을 수 있고, 회사가 내 노동력을 정당하게 레버리지할 수 있습니다. 순식간에 한직으로 발령될 수도 있고, 상사가 업무적으로 괴롭힐 수도 있습니다. 직장인은 이 모든 불리한 일을 감내해야 하고, 언제든 불편한 일들이 벌어질 가능성을 안고 회사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부자가 되기 위한 사업 종류 3가지
하지만 지금 있는 컴포트 존에서 벗어난다면 우리는 엄청난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매일 아침마다 하고 싶은 일을 스스로 결정하고, 다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한 시간에 여유롭게 극장에 가서 영화를 볼 수도 있습니다. 단 한 번만 성공하면 됩니다. 10번 실패해도 11번째 성공하면 남은 인생을 부자로 살 수 있습니다.
부자가 되는 법은 수천가지입니다. 사업을 하든, 주식을 하든, 부동산에 투자하든 부자의 마인드와 태도를 학습하고 삶에 적용하며 앞으로 나아가면 결국엔 부자가 될 것입니다. 만약 사업을 선택한다면 크게 3가지의 사업 종류가 있습니다.
첫째, 현금흐름 비즈니스입니다. 초기비용이 거의 안들어서 수익률이 높습니다.
대신 시간을 많이 투자해야 합니다. 직원을 고용하지 않고 내가 고객 유치, 서비스 제공, 사이트 구축 등 많은 일을 해내는 것입니다. 혼자 영업하고 마케팅하고 다 하기 때문에 사업의 성장 속도가 느릴 수 있고, 내가 확보할 수 있는 고객도 한정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마케팅 기업이 있습니다.
둘째, 고투자 및 고확장 비즈니스 입니다. 주로 뉴스에 많이 나오는 유형입니다. 이 비즈니스는 직원 고용, 시장진입 등의 투자로 인해 초기비용이 많이 듭니다. 대신 비즈니스 시스템을 구축해 놓으면, 사업을 쉽게 크게 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시스템을 누구라도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각이 수월합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기업, 어플리케이션 사업이 있습니다. 완벽한 예로 아마존을 들 수 있는데, 아마존은 사업 시작 후 20년 간 적자였다가, 어마어마한 속도로 성장하여 현재는 기업 가치가 수십 억 달러에 이릅니다. 지금의 지점에 오기까지 엄청나게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했던 것입니다.
셋째, 장기 투자 비즈니스입니다. 이 또한 초기비용이 많이 들고 도움 없이는 확장이 힘들지만, 위험부담이 낮고 유지가 쉬우며 단기간에 매년 10~20%의 투자수익률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매 상점 사업, 부동산투자입니다. 아파트를 매수해서 세를 주면 수익을 얻을 수 있고, 매매 차익도 실현할 수 있습니다. 말씀드린 3가지 사업 유형 중, 내가 사업을 한다면 어느 쪽에 맞을지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